주변 기기 및 Gen8 설치
주변 기기 및 Gen8 설치
공유기는 많은 기능이 필요하지 않고 DDNS 와 Gigabit 급 유무선 공유가 필요하여 ipTIME A2004NS-R 제품으로 정하였습니다. 그리고 Gigabit 통신을 지원할 CAT.6 LAN 케이블을 구매하였는데, KT Modem과 공유기, Gen8의 두 개의 LAN port와 개인 PC와 연결하였습니다. iLO 포트에는 남는 CAT.5e 케이블을 연결하였습니다.
HDD는 WD의 NAS 전용 3TB HDD(WD Red 3TB WD30EFRX NAS HDD)를 구매하였고, RAID 1로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SSD는 HDD Bay에 꽂지 않고 따로 ODD 공간에 마이크론 Crucial MX300 대원CTS (275GB) SSD를 설치하여 OS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옥탑방공사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MX300은 Crucial에서 내놓은 최신 3D Nand TLC 제품으로 기존 TLC의 한계를 극복하여 수명과 성능이 나아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요즘 대세인 삼성의 850 PRO SSD( 3D NAND MLC)를 구매하려 했지만, 마침 물량도 없었고 가격대비 사용량이 크지 않을듯 하여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마이크론 제품으로 정하였습니다.
RAM은 기존 HPE의 Smart Memory 4GB에 추가로 Samsung 8GB (1x 8GB) DDR3 1600MHz (PC3 12800E) 2Rx8 ECC Unbuffered Dimm을 장착하여 총 12GB를 사용 중입니다. 단종된 RAM이어서 중고로 구하거나 좀 높은 가격으로 구매해야합니다. HPE의 RAM이 아니기 때문에 부팅시 메모리의 상태를 체크하는 화면이 나타나며, Smart Memory 기능을 사용하지 못 할뿐, 사용하는데 지장없습니다.
SSD 설치를 위한 옥탑방공사
SSD 설치를 위한 옥탑방공사
Gen8에는 SSD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HDD bay에 연결하거나 Gen8 상부에 비어있는 ODD tray 공간을 사용해야 합니다. 추후 확장성을 고려하여 HDD bay보다는 Gen8 상부의 ODD공간에 SSD를 연결하였고, 일명 옥탑방공사라고 불리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옥탑방공사는 Gen8 구매시 형태만 있고 비어있는 ODD 공간에 노트북용 멀티부스트를 꽂을 수 있게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ODD 공간으로 나와있는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고 데이터케이블은 메인보드에 직접 SATA로 연결하면 됩니다.
옥탑방공사는 약간 번거로운 점이 있는데, Gen8 상부 ODD공간에 따로 나와있는 전원 공급선은 FDD용 전원선이기 때문에 SDD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몇가지 부품들을 구매하거나 손수 FDD 전원공급 부분선을 따로 분배해서 SSD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해주어야합니다. 저는 깔끔하게 하기 위해 부품들을 다음과 같이 구입하였습니다.
- 멀티부스트(9.5mm, 노트북용 멀티부스터)
- SlimLine SATA to SATA 컨버터 (노트북 ODD, SATA 7+6 to SATA+FDD)
- 노트북용 ODD 전면베젤 9.5MM
멀티부스트는 예전 ODD가 탈부착이 가능한 노트북을 써보셨거나 탈부착한 것을 보신적이 있다면 아실 수도 있습니다. 멀티부스트를 통해 ODD 자리에 HDD나 SDD를 장착가능 할수 있습니다.
Slimline to SATA Converter는 멀티부스트의 입출력 단자가 slimline SATA 형태(SATA7핀+전원6핀)를 갖추고 있는데, 이를 SATA 단자와 FDD전원 단자로 변환할 수있게 해주는 젠더입니다. 이 젠더를 통해서 Gen8의 FDD 전원선을 SSD와 깔끔히 연결할 수 있게 됩니다.
노트북용 ODD 전면베젤은 Gen8에서 멀티부스트를 설치하기 위해 ODD bay에 입구에 있는 민무늬의 ODD 가이드를 제거하게 되는데, 멀티부스트를 설치하면 더 이상 가이드를 꽂을 수도 없고 멀티부스트에도 전면베젤이 없어서 멀티부스트용 전면베젤이 필요합니다. 물론 ODD 형식의 전면베젤로 베젤에 있는 버튼들과 CD 투입구는 형태만 있고 사용 불가능합니다.
Leave a Reply